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국제

행정안전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Q&A 2편

 

[아시아통신] Q.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신청자 안내>

· 온라인

- 신용·체크카드 및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 상품권은 대상자(성인) 본인이 본인 명의로만 신청.

- 미성년 자녀(2007. 1. 1. 이후 출생자)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

 

· 오프라인

- 신용·체크카드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영업점에서 본인 명의로 신청·수령 가능.

- 지류·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자 개인 및 대리인 신청·수령 가능.

 

*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시 미성년 자녀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 가능.

 

 

Q. 온라인으로 카드신청을 할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한 주민은 어떻게 하나요?

해당 자치단체에 '찾아가는 신청'을 전화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찾아가는 신청' 요청 안내>

- 찾아가는 신청을 전화로 요청 시 대상자 여부를 조회한 후, 대상자를 방문하여 신청서 접수.

* 다른 가구원이 있는 경우 대리 신청이 가능하므로, 찾아가는 신청이 제한될 수 있음.

- 지급 준비 완료 시 재방문하여 상품권/선불카드 지급.

 

Q. 신용·체크카드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온·오프라인 신청을 통해 선택하여 수령할 수 있습니다.

* 첫 주 요일제 운영.

 

<신용·체크카드 지급 안내>

· 온라인

7. 21.(월)부터 충전을 희망하는 카드의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APP 및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앱을 통해 온라인 신청.

 

· 오프라인

7. 21.(월)부터 각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영업점 방문 신청.

* 신청 다음날 충전 및 문자 알림.

 

Q. 지류형·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역사랑상품권 및 선불카드 지급 안내>

·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 7. 21.(월)부터 자치단체 별 지역사랑상품권 앱 접속하여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가능.

- 온라인 신청이 불가한 일부 지역사랑상품권은 해당 자치단체 홈페이지 또는 전화 문의 확인.

 

· 선불카드 또는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 7. 21.(월)부터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가능.

- 신청하시는 현장에서 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으나, 부득이한 경우(수량 부족 등) 받으실 장소·일시 문자 안내 예정.

 

Q.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지역 제한이 있나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받은 지역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 지역 안내>

· 특·광역시 지역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받은 지역이 특·광역시 지역(세종·제주 포함)이라면 해당 특·광역시 내에서 사용 가능.

 

· 도 지역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받은 지역이 도 지역이라면 도 소재 시·군 지역 내에서 사용 가능.

 

Q.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언제까지 사용 가능한가요?

소비 촉진을 위해 사용 기한이 제한됩니다.

 

<사용기한 안내>

- 신용·체크카드 충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은 11. 30.(일)까지 사용가능.

- 11. 30.(일)까지 사용하지 못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멸.

배너
배너

농림축산식품부, 민·관이 손잡고, 케이-푸드 플러스(K-Food+) 국제농업협력사업(ODA) 모델 만든다.
[아시아통신] 농림축산식품부는 7월 16일 서울 에이티(aT)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 유관기관 등과 함께 K-Food+ 수출 확대 및 해외 진출기업 지원을 위한 국제농업협력사업(ODA)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농식품부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농업협력사업(ODA)과 우리 농식품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 및 수출실적 확대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민·관이 함께 모여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세계 각국에 농식품과 농기자재 등을 수출하는 13개 기업·단체와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 및 관련 단체들은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의 내용과 사업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받고, 농식품부는 기업 및 단체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는 등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민·관 협력 모델*을 발굴한 후, 협력국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렇게 구체화된 사업은 내부 절차를 거쳐 ‘28년부터 사업 착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단체들은 “국가별 비관세장벽 강화 추세 등 수출에 어려움이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