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뉴스

강천구, ‘제13회 그랜드CC배 KPGA 시니어오픈’ 우승… KPGA 챔피언스투어 첫 승 달성

 

[아시아통신] 강천구(50)가 2025 시즌 KPGA 챔피언스투어 ‘제13회 그랜드CC배 KPGA 시니어오픈(총상금 1억 5천만원, 우승상금 2천 4백만원)’에서 시니어 무대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강천구는 15일과 16일 양일간 충북 청주 소재 그랜드CC 남, 서 코스(파72. 6,686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 날 보기 없이 버디 7개를 잡아내며 7언더파 65타로 2위 박도규(55)에 2타 차 단독 선두에 자리했다.

 

대회 최종일 2번홀(파4)과 3번홀(파5)에서 연달아 버디 2개를 잡아내며 출발한 강천구는 이어서 버디 3개, 보기 1개를 추가하여 이날만 4타를 줄여내며 최종합계 11언더파 133타로 공동 2위 그룹에 5타 차 우승을 거뒀다.

 

우승 후 강천구는 “첫 우승을 하게 되어 기쁘다. 먼저 대회를 주최하고 힘써 주신 그랜드CC 관계자분들과 KPGA 임직원분들, 그리고 같이 경쟁하는 선수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며 “무엇보다 밤낮없이 옆에서 끊임없는 응원을 해주고 있는 가족들과 아내에게 고맙다”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최종라운드에서는 ’보기만 하지 말자’고 다짐하며 플레이했다. 전반에 버디 4개를 잡아내며 흐름을 잡았고 중간중간 실수도 있었지만 잘 막아내 우승까지 이어진 것 같다. 운도 많이 따라줬다”고 이야기했다.

 

강천구는 2005년 7월 KPGA 프로(준회원), 2014년 11월 KPGA 투어프로(정회원)에 차례로 입회했다. 입회 후 2부투어인 KPGA 챌린지투어에서 주로 활동한 강천구는 2014년 ‘KPGA 챌린지투어 카스코 시리즈 10회 대회’에서 프로 데뷔 첫 우승을 기록했다. 이번 시즌 ‘KPGA 챔피언스투어 QT’에서 공동 46위의 성적을 거두며 KPGA 챔피언스투어에 입성했다.

 

강천구는 “이번 시즌 한 번 더 우승을 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욕심내지 않으려 한다”며 “올해 KPGA 챔피언스투어에 입성하면서 레슨을 줄이고 훈련량을 정말 많이 늘렸다. 남은 대회도 매 샷 최선을 다해서 플레이 한다면 좋은 결과가 따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강천구의 뒤를 이어 임석규(56.바이네르), 박도규가 최종합계 6언더파 138타로 공동 2위, 김영우(50), 조현준(51)이 최종합계 5언더파 139타 공동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25 시즌 KPGA 챔피언스투어는 29일부터 31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제15회 그랜드CC배 KPGA 시니어 골프대회’로 그 여정을 이어간다.

배너
배너

농림축산식품부, 민·관이 손잡고, 케이-푸드 플러스(K-Food+) 국제농업협력사업(ODA) 모델 만든다.
[아시아통신] 농림축산식품부는 7월 16일 서울 에이티(aT)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 유관기관 등과 함께 K-Food+ 수출 확대 및 해외 진출기업 지원을 위한 국제농업협력사업(ODA)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농식품부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농업협력사업(ODA)과 우리 농식품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 및 수출실적 확대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민·관이 함께 모여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세계 각국에 농식품과 농기자재 등을 수출하는 13개 기업·단체와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 및 관련 단체들은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의 내용과 사업화 과정을 상세히 설명받고, 농식품부는 기업 및 단체의 현장 의견을 수렴하는 등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민·관 협력 모델*을 발굴한 후, 협력국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렇게 구체화된 사업은 내부 절차를 거쳐 ‘28년부터 사업 착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단체들은 “국가별 비관세장벽 강화 추세 등 수출에 어려움이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