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여행/레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 개최

수학, 물리 등 9개 분야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국가대표 학생 43명, 선의의 경쟁 다짐

 

[아시아통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우성)은 6월 2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2025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대식에는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하여 정우성 창의재단 이사장,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 학생 43명, 9개 분야* 올림피아드위원회 관계자 등 총 250여 명이 참석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표학생 전원에게 기념패를 전달하며 국제대회에서의 선전을 기원했다.

 

국제과학올림피아드는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20세 미만(중등과학 분야의 경우 15세 이하) 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력을 겨루는 세계 두뇌올림픽이다. 우리나라는 '88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시작으로 총 9개 분야에 출전하고 있으며, ’22년, ’23년에는 참가자 전원이 메달을 획득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작년 3~6월부터 지원자 신청을 받아 분야별 대학 교수진 등의 온라인 통신교육(‘24.4~12), 방학 중 계절학교(여름, 겨울방학), 실험·탐구 집중교육(’25.3~6) 등을 진행하여 최종 43인을 선발했다.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교육과정은 ‘선교육-후선발’ 체계의 확산을 통해 관심 있는 학생 누구나 동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각 교육단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학생을 국가대표로 최종 선발한다.

 

올해 한국대표단은 총 9개 분야 대회에 출전하며, 6월 29일(일)부터 7월 6일(일)까지 스웨덴 룬드에서 열리는 국제청소년물리 승자진출전(국제청소년물리 토너먼트)이 첫 포문을 열 예정이다.

 

한편, 이번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는 삼성전자, 한화생명 등 주요 국내기업들이 적극 후원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수학과 물리분야 한국대표단을 후원하여 미래 과학인재를, 한화생명은 정보분야 한국대표단을 후원하여 미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두 기업은 각 분야 한국대표단의 교육, 선발 및 대회 참가 등을 지원하고, 대회 수상자에게 장학금을 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사전 행사로 창의재단, ㈜삼성전자, 대한수학회 및 한국물리학회 간 ‘국제수학·물리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양성을 위한 후원 협약식’이 진행됐다. 삼성전자 측은 “기초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미래 과학인재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수학·물리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을 후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2부 행사에서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선배로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이진근 대표('99년 국제생물올림피아드 동메달)가 후배들을 위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이 대표는 ‘The First or The Best’라는 주제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출전을 통한 진로 탐색 경험을 공유하고, 선배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조언을 아낌없이 나누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격려사를 통해, “세계 각국의 학생들과 교류하며 국제적인 감각과 과학자로서의 안목을 넓히길 바란다”며, “과기정통부는 미래 과학기술 인재들이 마음껏 연구하고, 실패하고,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연구비 산정기준 제각각, 연구기관도 들쭉날쭉…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연구원 연구 운영 가이드라인 전면 개선 촉구
[아시아통신] 서울특별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9월 1일(월) 열린 제332회 임시회 기획경제위원회 기획조정실 회의에서 서울시 출연금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서울연구원의 연구과제 선정 기준, 부서명에 따른 업무분장 등 관리감독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지적했다. 구미경 의원은 서울연구원이 서울시 산하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매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도 2억5천만 원을 출연해 정책연구과제 1건, 정책이슈리포트 1건을 별도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두 연구기관 간 연구과제 배정 기준을 명확히 하여 서울시의 연구주제 선정과 활용방안에 대한 혼선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서울연구원 내부의 부서명과 실제 업무분장이 일치하지 않아 프로젝트 배분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프로젝트 요청 시 부서명과 업무 범위를 명확히 조정해 과제 배분의 효율성과 연구 수행 체계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미경 의원은 “연구 난이도와 성과 활용성, 연구기간과 예산 구조를 고려한 서울연구원과 한국한국지방행정연구원 간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며, “출연기관 연구사업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