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의학/제약

어깨·목·허리 담에 자주 걸리시나요?

 

 

<김도영 연세스타병원 신경외과 원장> 아시아통신 고은혜 기자 | 40대 직장인 김씨는 직장 동료들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여러 명이 하던 일을 혼자하게 되면서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잠에서 깨고 난 후부터 허리와 목에 근육이 뭉쳤고 불편함이 생겼다. 담에 걸렸다고 생각했지만 몇 일이 지나도 나아지질 않았고 병원에서 근막통증 증후군 진단이 내려졌다. 근육에 통증이 유발되는 근막통증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담에 걸렸다고 표현된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목이 돌아가지 않는다거나, 허리에 근육이 뭉쳐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유발돼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생긴다. 근육통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의하면, 근통 환자 수는 매년 200만 명을 넘었었고, 2021년 환자 수는 221만여 명으로 나타났다. 연세스타병원 김도영 신경외과 원장(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외래교수)은 “근막통증 증후군은 목과 허리, 어깨에서 잘 발생한다. 일시적이라면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지는 추세를 보이지만 통증이 오래간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특히 근막통증 증후군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만성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원인으로는 잠을 잘못 잤을 때,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했을 때,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취할 때,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스트레스가 있을 때 등 다양하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통증이 생기는 지점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고 깊게 쑤시는 느낌이 난다. 또한 통증유발점을 누르면 심한 통증을 느끼고, 주변까지 통증이 퍼지는 느낌도 받는다. 두통, 마비감, 코막힘, 현기증 등도 올 수 있고 통증으로 인해 운동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물리치료와 도수치료, 체외충격파가 효과가 좋고 치료 경과도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통증이 심하거나 만성으로 진행됐다면 통증 유발 부위에 직접 주사를 놓는 통증유발점 주사인 TPI주사가 가장 효과적이다. 김도영 연세스타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담에 자주 걸리는 분들은 자세 개선과 중간 중간 어깨와 목 근육을 풀어줘야 한다. 잘 때도 바른 자세로 누워 자는 것이 좋고 춥거나 습한 곳을 피해야 한다. 혈액순환 증진으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규칙적인 운동도 당연히 좋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이승로 성북구청장, 전통시장 상인과 소비쿠폰 사용 촉진 캠페인
[아시아통신] 서울 성북구가 구민의 생활안정과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캠페인을 본격 가동하며 현장 소통과 사용 촉진에 나섰다. 28일 성북구는 돈암전통시장에서 소비 릴레이 캠페인을 펼치며 소비쿠폰 사용 분위기 확산에 나섰다. 이 자리에는 이승로 성북구청장을 비롯해 구 직원 그리고 시장 상인이 함께해 구민과 직접 만나 소비쿠폰 사용을 독려했다.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소비쿠폰은 삶의 안정을 돕고, 지역경제에 온기를 불어넣는 실질적 정책 수단”이라며 “현장에서 큰 혼란 없이 운영되도록 성북구 직원 모두가 만전을 기하고 있다” 면서 “성북구민께서도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소비로 마중물 역할을 해주실 것을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원활한 지급과 적극적인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돈암시장에서 과일을 판매하는 김*옥 씨는 “아침 7시부터 저녁 9시까지 문을 열고 있지만 하루에 손님이 한두 분 밖에 오지 않는 날도 많았을 정도였다” 면서 “소비쿠폰이 지급되어 다행이지만 서울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어 시장은 그 혜택을 못 받을까 봐 걱정했는데 구청장님과 성북구 직원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