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뉴스

거창소방서, 다가오는 봄철 긴장의 끈 졸라맨다

 

 

 아시아통신 조연정 기자 | 거창소방서장은 2일 겨울철 다음으로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 봄철을 대비하여 화재예방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경남소방본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화재 건수는 총 13,890건으로 겨울이 5,242건(37.7%)으로 가장 많았고 봄 3,866건(27.8%), 여름 2,889건(20.8%), 가을 1,893건(13.6%) 순으로 집계됐다.

 

 

봄에 발생한 화재는 3월이 1,387건(35.9%)으로 가장 많았고 4월 1,263건(32.7%), 5월 1,216건(31.5%)으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최근 5년간 연평균 68.9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의 원인으로는 부주의가 2,201건(56.9%), 전기 650건(16.8%), 기계 315건(8.1%), 화학 55건(1.4%)이며, 장소는 임야ˑ야외ˑ도로 1,391건(36%), 주거시설 803건(20.8%), 산업시설 571건(14.8%)이다.

 

 

이처럼 겨울 다음으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봄철을 대비하여 소방서는 화재예방대책을 수립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건설 현장 및 선거 시설 안전대책 추진 ▲다중 및 화재취약시설 안전점검 추진 ▲주거 및 행사장 등 안전 관리 강화 ▲야외화재 다발지역 분석 순찰 체계 구축 등이 있다.

 

 

정순욱 거창소방서장은 “건조한 기후와 대형 행사, 입산자 증가 등으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계절적 특성과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생활공간 제공을 위한 맞춤형 화재안전대책을 수립하여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관내에서도 여러 화재로 인한 피해가 많이 늘었다”라며 “앞으로 다가올 봄철 화재예방을 위해 군민 모두 각별한 관심과 주의를 가져달라”라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배너
배너

오 시장, "백사마을 사회통합 상징공간으로 재탄생"… 3178세대 차질없이 공급
[아시아통신]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화) 오전 10시,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렸던 노원구 중계동 ‘백사마을(노원구 중계본동 30-3번지 일대)’을 방문해 철거상황을 점검하고 차질없는 주택공급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백사마을은 1960년대 도심 개발로 청계천‧영등포 등에서 살던 철거민 1,100여 명이 불암산 자락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곳이다. 지난 2009년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후 2012년 국내 최초 주거지보전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분양주택과 임대주택 분리 이슈와 열악한 지역 여건으로 인한 낮은 사업성, 사업자 변경 등을 겪으며 16년간 답보 상태였다. 주거지 보전은 저층 주거지 등 동네 일부를 보존하고 아파트와 주택을 결합하는 형태 재개발이다. 하지만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낮아진 사업성을 끌어올리는 게 관건이 됐다. <주거지보전용지→공동주택용지, 사업성 보정계수, 용도지역 상향 등 사업성 대폭 개선> 이에 서울시는 SH와 함께 걸림돌로 작용했던 ‘주거보전용지’를 ‘공공주택용지’로 변경하고,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에 대한 소셜믹스로 세대통합, 사업성 보정계수 적용, 용도지역 상향 등 과감한 규제 혁신을 통해 사업성을 대폭

정준호 시의원, 서울시 마을버스 관리구조 전면 재검토 촉구
[아시아통신] 최근 마을버스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며 재정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가운데, 서울시의 관리 책임 부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제332회 임시회 교통실 업무보고에서 “구청 위임사무에 대한 서울시의 충분한 관리·감독 부재로 마을버스 재정지원 사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지원 대상 업체의 경영 건전성을 점검하지 않는다면 재정지원이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며 “재정지원이 공공성을 확보하려면, 책임 있는 관리·감독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준호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4년 한 해 동안 91개 마을버스 회사에 총 361억 원을 지원했다. 이 가운데 10억 원 이상 대여금을 보유한 10개 회사가 28억 6,800만 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회사는 자산의 90% 이상을 대표이사·주주·친인척에게 대여금 형태로 처리한 정황도 확인됐다. 정 의원은 문제의 근본에 사무위임 구조의 허점이 자리한다고 말한다. 「서울특별시 사무위임 조례」에 따라 마을버스 운송사업 등록·사업정지·과징금 부과 등의 관리 권한은 자치구에 위임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