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뉴스

임인년 더 힘차게 날아오르는 마포구를 기원하며, 온라인 신년인사회 개최

 

 

 아시아통신 진금하 기자 | 마포구는 임인년 새해를 맞아 ‘2022년 마포구 신년인사회’를 오는 6일 오후 3시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구민의 안전을 위해 마포구 공식 유튜브 채널(my Mapo 마포구)에서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는 이번 신년인사회는 구민과 함께 새해 정진을 다짐하고 ‘소통과 혁신으로 더 크고 행복한 마포’의 비전을 공유하는 소통과 화합의 장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유동균 마포구청장은 신년사를 통해 코로나19 극복과 더 나은 일상으로의 회복에 방점을 둔 구정 운영 방향과 민생경제 치유,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지역사회 돌봄 기능 및 사회 안전망 강화, 저탄소 친환경 정책 등 구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향후 계획 등을 전할 계획이다.

 

 

사회자 개회선언 후 마포구민의 희망찬 새해 소망을 담은 영상으로 행사의 막이 열리고 이어 오딧세이 공연팀의 ‘범 내려온다’ 축하 공연과 마포구 관광 홍보 영상이 상영된다.

 

 

특히 올해 마포구민 새해 소망 영상은 메타버스를 가미해 ‘마포 월드’라는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연트럴 파크, 월드컵 시장 등 지역의 명소에서 촬영한 구민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도록 제작했다. 또한 코로나 극복 의미를 담은 수어를 활용한 안무로 이루어진 BTS의 ‘Permission to dance’ 마포구민 댄스 챌린지도 함께 진행한 것이 특징이다.

 

 

구 관계자는 “코로나 상황으로 온라인 신년인사회를 진행하게 됨에 따라 보다 많은 구민과 소통하기 위해 구민 새해 소망 및 댄스 챌린지를 기획했다”라며 “역대 최대 규모로 120여 명의 마포구민이 참여해 코로나 극복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 의미가 깊다”라고 밝혔다.

 

 

유동균 마포구청장의 신년사와 지역 주요 인사들의 새해 덕담이 이어진 후 오딧세이 공연팀의 ‘아름다운 나라’ 축하 공연을 끝으로 행사는 마무리된다

 

유동균 마포구청장은 “온라인상이지만 구민 여러분과 만나 새해 희망을 이야기 할 수 있어 기쁘다”라며 “바람이 거셀수록 연은 더 높이 난다는 풍신연등(風迅鳶騰)의 자세로 마포구민의 평범하지만 행복한 삶을 위해 2022년에도 진심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2022년 마포구 온라인 신년인사회 영상은 마포구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추후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서울시, 건축심의 대상 60% 축소·조건부과 금지… '규제철폐 23호' 시행
[아시아통신] 서울시는 자치구 건축 심의에서 법령 근거 없이 과도하게 지정됐던 심의 대상을 축소하기 위해 ‘건축위원회 운영기준’을 전면 개정하고 10월 10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서울시 건축위원회 운영기준 개정은 지난 1월 규제풀어 민생살리기 대토론회에서 제기된 ‘규제철폐 23호’ 과제를 본격적으로 실행에 옮긴 것으로, 과도한 심의로 인한 시민불편과 재산권 침해를 해소하기 위해 불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줄여 권익을 보호하고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조치다. 그동안 일부 자치구에서 자체 방침으로 심의 대상을 확대하거나 법령 근거가 부족한 조건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불필요한 절차와 비용을 감수해 민간 사업자의 사업 추진에도 제약이 많았다. 특히 재개발 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에 건물을 지을 때도 관례적으로 심의를 받아야 해서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서울시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심의의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월부터 25개 자치구와 협의를 진행했다. 자치구별 특수성을 일부 반영하되 지역 경관 개선, 주거환경 보호 목적 외에는 심의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협의했으며, 자치구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 속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