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뉴스

강원도 1인당 개인소득 2,021만원, 9개 도 중 2위

2020년 도민 1인당 개인소득 2,021만원, 전년대비 103만6천원(5.4%) 증가

 아시아통신 김성연 기자 | 1인당 개인소득 2,021만원 전년대비 5.4% 증가, 9개 도 중 2위 강원도가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년 지역소득통계 잠정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0년 도민 1인당 개인소득은 2,021만원으로 전년보다 103만 6천원(5.4%)이 증가해 전국 17개 시도 중 8번째, 9개 도 지역 중에서는 경기도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인당 개인소득은 지역총소득 중에서 가계로 돌아가는 몫으로 주민의 실질적인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데 지난 2016년에는 전국 15위에 그쳤으나 2017~2018년 13위, 2019년 11위, 2020년 8위로 빠르게 개선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인당 개인소득의 전국평균(2,121만원) 대비 수준도 95.3%로 전년(92.8%) 보다 2.5%p 높아졌다.

 

 

지역내총생산 48조8천억원, 1인당 GRDP 3,223만5천원(전국 10위수준) 2020년 도 지역내총생산은 48조8,390억원으로 전년보다 160억원(0.03%) 증가했는데 이는 전국 지역내총생산(1,936조원)의 2.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3,223만5천원으로 전년보다 4만3천원(0.1%) 증가했다. 도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국 평균(3,738만9천원)의 86.2% 수준이며 17개 시도 중 10번째(‘19년 10위)에 해당된다.

 

 

2020년 경제성장률은 –2.0%로 전국 평균 경제성장률(-0.8%)을 1.2%p 하회하고 있고 17개 시도 중 11번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문화서비스업 및 숙박‧음식점업의 매출 감소가 주요 요인 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산업구조는 농림어업 5.0%, 광업․제조업 11.7%, 건설업 9.7%, 전기․가스․증기업 2.0%, 서비스업 72.2%를 구성하고 있다. 전년(2019년)과 비교하면 건설업과 농림어업 비중은 각각 0.6%p, 0.4%p 확대되었고, 서비스업(0.7%p↓)은 비중이 축소되었다.

 

 

도 관계자는 “도민 1인당 개인소득이 도 지역 중 2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은, 공공부문과 건설 부문의 부가가치 증가와 코로나19에 따른 재난지원금 지원의 효과로 보인다”면서, “향후에도 미래 첨단‧청정산업 육성, 지역산업 체질개선 및 SOC 확충, 고용안전망 강화, 양질의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도민 소득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수 있도록 도정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수원특례시의회, 시민체감정책 여야 공동선언 참여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의장 이재식)는 9월 10일(수), 수원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시민체감정책 여야 공동선언에 참여했다. 이날 선언식에는 이재식 의장을 비롯해, 김정렬부의장, 더불어민주당 김동은 대표, 국민의힘 박현수 대표, 수원시장, 제1・2부시장 등이 함께해 민생안정을 위한 4대 시민체감정책 추진에 뜻을 모았다. 이번에 공동선언한 정책은 ▲출산지원금 확대(첫째아 신설, 둘째아 확대) ▲생리용품 지원 사업(11~18세 여성 청소년) ▲무상교통사업(70세 이상 어르신 등) ▲대상포진 무료접종 사업(65세 이상) 4개 사업으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생활 밀착형 민생정책이다. 이재식 의장은 “오늘 수원특례시의회와 수원시가 함께 시민체감정책 추진에 대한 여야 공동 선언을 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4대 사업은 청소년부터 어르신까지 전 세대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시민 한 분 한 분의 생활과 건강, 미래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수원특례시의회는 이번 공동선언이 시민 삶의 변화를 실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면서, 수원시와 함께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김정렬 부의장은 “민생이 어려운 시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