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기계톱 사고 많답니다",,,3년 간 356건

"60대 이상 고령층의 기계톱 사고가 많습니다. 나이를 생각해 우선 조심하세요" 한국소비자원이 당부하는 안전 조심의 메시지이다. 고속으로 돌아가는 기계 톱은 인정사정이 없다. 아차하는 순간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018~2020년 소비자 위해(危害)감시시스템에 접수된 기계톱 관련 안전 사고가 총 356건에 이른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에만 전년의 100건보다 2배 가까운 189건이 발생, 각별한 안전 관리와 함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별 사고 현황을 보면 60대 이상자의 사고가 205건으로 57,6%를 차지했다. 50대가 95건(26,7%), 40대가 34건(9,6%) 등으로 영령대가 높을 수록 사고 빈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부위는 팔과 손이 49,4%로 가장 많았고 둔부와 다리가 44,1%, 머리와 얼굴이 4,5%였다. 증상은 열상(찢어짐)이 86,8%로 가장 높았으며 절단3,7%, 골절 3,3% 였다. 고속으로 돌아사는 칼날 앞 부분이 물체에 닿을 때 갑자기 톱이 튀어오르는 '킥백'(Kick back) 현상이나 톱날에 옷자락이나 장갑등이 말려 들어가면서 일어나는 사고가 많았다. 사고 발생 장소는 주택이 67,1%, 자연 및 관련시설 15,9%, 농수축산업 현장이 10,4%였다. 요즘 주위에서 기계톱으로 인해 큰 사고을 당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음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목공 일에서 부터 조경 분야에 이르기까지 기계톱을 이용하는 분야가 무척 넓어진 탓이다.
배너
배너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