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 속에서 '건강'이 제1의 생활지혜로 손꼽힌다. 사람들마다 입을 열기가 무섭게 '건강챙기기' 예기부터 시작하는 게 요즘의 풍속도이다. 늙고 젊음의 연령구별도 없다. 이런 가운데 저칼러리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를 반영한 국내탄산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자료가 나왔다. 예전같으면 무조건 음료하면 콜라와 사이다였는데 격세지감(隔世之感)이 든다. 23일,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가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를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탄산수 판매량은 2015년 1,890만 ℓ 에서 2020년에는 2,430만 ℓ 로 28,6% 증가햇다. 유로모터스는 2050년에는 탄산수 판매량이 2,880만 ℓ 로 작년 보다 18,5%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실적을 브랜드별로 보면 일화초정탄산수가 30,9%를 기록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1위를 차지했고 롯데칠성의 트레비가 간발의 차이인 29,9%;로 2위에 올랐다. 그 뒤를 웅진 빅토리아(10,3%) 와 코카콜라 씨그램(7,9%)이 추적 중이다. 네슬레 페리에는 2,1%의 점유율이다. 유통 체널별 판매량은 대형마트가 27,8%, 온라인 채널 23,8%, 편의점 22,5% 였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부분은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비중이 2019년 대비 7,0%포인트 높아졌다는 점이다. 국내 탄소음료시장의 성장세 속에 저칼로리 제품의 인기도가 빠르게 높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탄산음료 판매량은 2015년 16억 5,800만 ℓ에서 지난해에는 12억 7,300만 ℓ로 20,3% 나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