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혼자 앱 깔 줄 몰라!" 노인들이 혼자 디지털 기기를 만질 수 없는 것은 절대 특권이 아니다. 왜냐하면 너나할 것 없이 노인들은 100세 시대에 걸맞게 살아가야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98.1%로 세계 1위다. 65세 이상 노인도 둘 중 하나(56.4%)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음식주문에서부터 쇼핑,TV, 영화시청, 송금, 주식투자, 소셜미디어, 자료검색 등 사실상 '삶의 전부'와 같아졌다. 하지만 어론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노인 50명 중 스마트폰 이용자는 34명(68%)였지만 이 가운데 '앱을 스스로 깔 줄 안다'고 답한 사람은 9명에 불과했다. 이들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평균 개수는 49개였다. 스마트폰을 처음 살 때부터 제조사, 통신사가 35개 안팎의 앱을 기본 설치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노인들이 자체적으로 설치하거나 이용하는 앱은 아무리 많아도 15개 수준을 밑돈다. 이들 노인들은 왜 스마트폰 앱을 이처럼 사용하지 못하느냐는 질문에 '스마트폰을 팔길래 사서 쓰고 있을 뿐 구체적인 기능이나 활용 등은 모른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앱을 물어보니 전화, 문자, 카카오톡, 유투브, 사진 순이었다. 같은 기간 20대 청년 50명에게 동일한 질문과 답변을 들었다. 이들의 평균 앱 설치개수는 128개였다. 노인의 49개와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노인들은 금융이나 소셜미디어 등 활용 못하는 분야가 수두룩한데, 20대 청년들은 앱을 공기 다루듯 마음대로 활용하고 있었다. 20대 청년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수많은 앱을 깔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중요하지만 여기에 너무나 빠져 과도한 집중을 쏟을 경우 신체 건강 등의 큰 장애가 우려되기도 하고 특히 사회적 공동생활 등에서 예외자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경계할 필요는 분명히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