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40대 직원들도 희망퇴직 대상자에 포함돼 제 2의 인생에 도전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 희망퇴직자는 '임금피크제'를 앞둔 50대가 주 대상이었는데 이 연령대가 40대까지로 내려 앉은 것이다. 이 같은 추이는 급속한 금융업무의 디지털화로 점포수가 격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손을 기계가 담당함으로써 필수 인력수가 줄고 있는 등 금융 환경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들어 벌써 두본째로 희망퇴직 희망자를 접수 중에 있다. 올 1월 희망퇴직을 통해 220명을 떠나 보낸 뒤인 5개월 만에 다시 추가 희망자를 뽑고 있는 것이다. 한 해에 두번씩 희망퇴직을 실시하기는 처음의 일이다. 이번 희망퇴직대상 연령은 40대까지 확대됐다. 희망퇴직 신청 대상은 △부지점장 이상 일반직 △4급이하 일반직 △RS직 △무기 계약인력 △관리지원계약 인원 중 1972년 이전 출생 출생자 중 15년 이상 근속 직원이 대상이다. 희망퇴직자에겐 연차와 직급에 따라 최대 36개월분의 특별퇴직금이 지급되는데 신청은 이달 말 까지이다. 이미, 은행권에선 40대 직원을 대상으로한 희망퇴직이 정례화되는 분위기이다. KB국민은행도 희망퇴직 연령을 '40대 후반'으로 낮췄다. 지난 1월 800명을 운행에서 떠내 보내면서 연령대를 1965~1973년생으로 낮춰 만 48~49세 지원에게도 희망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다. 밝히지는 않지만 800명 중 상당수의 '40대'가 포함됐으리란 예측이다. LH농협은행도 최근 3년 간 만 40세 이상자를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시켰다. LH농협은행을 비롯하여 신한. 하나, 울, KB국민은행 등은 지난해 업무 디지털화로 236개 점포의 문을 닫았다. 인력 배출이 불가피해 진것이다. 40대가 제 2의 삶을 어떤 방깃으로 어떻게 개척해 나갈지 시험대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