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66세이상 노인 44% '빈곤층'...월 90만원으로 산다 

우리나라가 세계 제1의 최고령 국가로 치달으면서 수명이 길어지고 있는 반면, 노년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말 812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15,7%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자 한명이상 있는 가구 비중은 전체 2,035만 가구 중 22,8%까지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고령층의 삶은 여유가 좁혀들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해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국민들은 은퇴후 적정 생활비로 가구당 월 294만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절반 이상인 54,8%가 '준비 부족'을 호소했다. 통계청은 고령층 10명 가운데 5명 이상이 '잠재적 빈곤층'으로 분석했다. 노인 빈곤 문제는 주요국 가운데 한국이 가장 심하다. 한국고령층 중 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은 4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미만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올해 1인 가구 중위 소득계층의 월 소득은 187만원이다. 여기에다 66세 이상 고령자의 잠재빈곤 율 44%를 대입하면 우리나라 고령층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월 90만원 가량으로 생활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해 진다. 한편 통계청과 삼성생명인생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5년이 되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
배너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