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들이 앞다퉈 '백신휴가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대상자가 고령층에서 젊은층츨으로 옮겨지고 있는데 따른 선제 조치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접종당일 유급휴가에 머문는 것이 아니라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인재 복지경쟁차원에서의 파격적 조치까지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IT업계에선 직원복지경 쟁차원에서 최장 14일까지의 유급휴가를 선언하는 기업도 나오고 있다. 3일, 현대차는 접종일과 다음 날 유급휴가를 주는 '백신허가제'를 노조와 합의했다. 노사간 백신접종 휴가제 합의는 첫 케이스이다. SK이노배이션과 SK하이닉스 등 SK그룹 주요 계열사들도 유급휴가를 보장하고 이상반응이 있을 시 최대 이틀 간 휴가를 더 쓸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와 LG그룹은 이미 지난 달 최장 3일 간의 백신휴가제를 도입했다. 백신휴가를 선제도입한 업종은 IT 업계이다. 게임 업체 NHN은 지난 달 4일 백신휴가를 전 직원들에게 공지했으며 네이버도 지난 달 6일 전 계열사에 백신휴가제 도입을 알렸다. 이어 SK텔레컴, KT, LG유플럿 등 통신 3사와 아놀자, 두 나무 등 IT 업체들도 잇달아 백신휴가를 선언했다. 유통업체들도 이에 가세했다. 롯데, 신세계, CJ등 유통대기업은 물론 쿠팡, 위메프, 티몬 등 e커머스 업체들도 최장 4~6일간의 유급휴가를 약속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