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는 31일, 부산신항 서컨테이너 부두 운영사를 재공모한다고 밝혔다. 서컨테이너부두는 2023년 7월 개장하는 2~5단계 '3선석'과 2024년 7월에개장하는 피터선(중소형 컨테이너 선박) 전용부두, 2026년 7월 개장 에정인 2~6단계 2선식으로 연간 총 355만 TEU( 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다. BPA는 애초 2019년 12월 부산북항 신선대, 감만부두운영사인 부산항터미널(BPF)와 HMM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했었으나 물동량 확보계 획부문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작년 6월 운영사 우선협상자 선정이 무산됐다. 또 2~5단계 부두 개장 시기도 애초 계획보다 1년여 연기됐다. BPA는 6월 8일 오후 2시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5층 이벤트 홀에서 국내외 관련업체들 대상으로한 사업설명회를 진행하고 8월 2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BPA는 2~3단계 부두의 컨테이너 크레인 9기와 트랜스퍼 크레인 46기를 직접 설치하고 정부와 협의해 선정되는 운영사에 30%에 가까운 지분을 투자해 운영사의 초기 투자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대신, 연간 표준 하역량인 선석 당 65만 TEU를 기준으로 운영 1차연도에 60%, 2차연도에 80%, 3차연도에 100%에 미치지 못할 경우 페널티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