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도 조금씩 마시면 약주(藥酒)일 수 있다는 게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이다. 식사와 함께 겻드리는 반주는 보약이라고들 말한다. 그런데 술은 마시는 양이 적다하더라 도 뇌 곳곳에 부정적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영국 옥스포드대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안나 터피 피왈라 교수 연구팀은 술을 마시면 마실수록 뇌의 용적이 줄어 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일간 가디언 인터넷 판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 베이스에 수록된 성인2만 5,378명의 음주 등 생활 습관, 건강상태, 뇌 MRI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매주 알코올 의 평균 섭취량이 많을 수록 뇌 회색질(gray matter)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개인의 생물학적 특성과 행동 특성을 고려한 결과 전체적으로 알코올 섭취는 뇌 회색질 용적 감소와 '0.8%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서 지칭하는 '0,8%'라는 수치는 미세한 영향력 같지만 흡연이나 과체중 등에 따른 다른 위험요소들과 비교할 때 4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알코올은 또 뇌의 백질(white matter)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특히 이같은 음주의 부정적 영향은 술의 종류와 양에 관계없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국 '안전한 수준의 음주'란 없다는 예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