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회원국들 중 싱당수가 코로나 19로 위축됐던 경제가 올해들어 크게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글로벌 고용시장이 코로나 19이전 수준으로 되돌아 가는 데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업산업자문위원회(BIAC)는'2021 경제정책 설문조사'결과 보고서를 내놨다. 이번 조사에는 OECD 회원국 중 국민총생산(GDP)의 94%를 점하는 28개 회원국 경제단체들이 참여했다. 이들 단체들은 올해 전반적인 경영환경에 대해 60%가 '좋음'으로 답했다. '나쁨'과 '매우 나쁨'은 각각 27%와 1%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지난해 조사에선 나쁨이 45%, 매우나쁨이 50%에 달했었다.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GDP가 회복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응답 기관 들 중 48%는 '올해 중반'이란 답을 냈지만 24%는 '2022년 중반' 12%는 '2022년 말'로 아직은 시기상조로 더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이들은 특히, 고용시장 회복이 더딜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시장의 코로나 19 이전 수준회복 시점을 묻는 질문에 78%가 '1년 이상 걸릴 것'이라 답했다. 실업률이 코로나 사태 이전으로 회복되는 시점을 '2022년 말' 49%, '2022년 말이후'로 전망하는 비중도 40%였다.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공공부분의 지원과 관련해서는 '다소 과도하다'는 응답이 47%로 높은 편이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지원대상 선정 개선'이 51%, '지원기한 제한'이 33%였다. BIAC는 "코로나 19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은 민간에서 나온다"며 "지금부터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생산성 촉진과 일자리 창출을 유도할 친 성장 정책을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응답기관들의 81%가 '소속 국가의 정부가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 늘어난 부채에 대응할 전략이나 방책을 마련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응전략이 없다"고 답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