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하다간 LH전철 밟을 수 있다" 정부가 신규 택지예정지를 정하는 과정에서 '신중 모드'로 일관하고 있다. 정부는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과 세종시 및 지방 신규택지 발굴을 통해 총 5만 2,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당초 이달 중 발표 예정이던 15만 가구의 2차 공공주택 후보지 중 13만 가구는 투기우려 때문에 미뤄졌다. 정부는 이 달 중 발표하기로 했던 신규 택지는 총14만 9,000가구 규모였 지만 울산과 대전을 제외한 13만 1,000가구분의 공개 일정이 미뤘다. 이 중 11만 가구가 수도권 물량이다. 이들 후보지에서 갑자기 토지, 주택 거래량이 급증하거나 외지인 및 지분거래 비중이 높아지는 등 투기 정황이 포착됐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 다. 정보가 미리 새나갔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조속한 발표보다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위법성 여부와 투기협의자를 색출하는 게 선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29일, '위크리주택공급브리핑'을 통해 '2,4대책' 후속 조치인 5난 2,000가구 규모의 주택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소규모 택지 정비관리 지역 및 주거재생혁신지구 선도사업 후보지 27곳에서 2만 1,000가구를 공급하고, 세종시 행정복합도시에서 1만 3,000가구, 울산 대전 등 지방 중소규모 신 규택지 2곳에서 1만 8,000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것이 골자이다. 전국 55개 지자체가 소규모 주택정비 관리지역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혔고, 정부는 이들 중 서울 금천, 양천, 종로, 중구, 성동, 중랑, 강서, 경기 성남, 수원, 동두천, 인천 부평, 대 전동구, 관주북구 등 20곳을 선도사업 후보지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