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2050탄소중립선언(온실가스 배출량 0% 선언)으로 배출권 관리가 엄격해짐에 따라 기업의 배출권 자산 및 배출권 부채 규모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 말의 의미는 어떤 기업은 정부에서 배정받은 배출권이 남아 이를 매각 또는 저장하여 자산화 하는가 하면 어떤 기업은 배출 의무량을 맞추지 못해 남의 기업에서 빌려 쓰는 일종의 '탄소권 빚'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정부로 부터 배출권을 할당받은 상장법인 중 상위 30개사의 배출권 자산은 작년말 기준 5,237억원, 배출부채는 7,0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년전에 비해 자산은 142,1%, 부채는 7,8% 증가했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 할당량을 지정했다. 기업은 정부에서 할당 받은 배출권의 여분 또는 부족분을 거래소에서 매매하고 해당 거 래 내역을 회계처리해 재무제표에 반영하도록 했다. 배출권 매매액은 배출권 자산으로, 배출권 의무이행율을 위한 소요액 추정치는 배출 부채로 회계처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