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릴린치, 골드만 삭스, JP모건 ,씨티 등 세계투자은행들이 한국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넉달 연속 강향 조정 끝에 3,8% 상승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3,8% 성장이라는 것은 기뻐 마땅한 수치인 것은 분명하지만 '아시아의 경제 신흥잠룡(潛龍)'들의 예 상 성장률에 비할 때 한국에 대한 한 발 뒤진 성장 예측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 활짝 웃기에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고, 그렇다고 얼 굴을 찡그릴 그런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표정관리가 애매하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바클레이즈, 뱅크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 씨티, 크레디트 스위스, 골드만삭스, JP모건, HSBC, 노무라, UBS등 해외 IP 9곳이 전망한 올해 한국의 실질국내 총생산(GDP) 성장률은 평균 3,8%이다. 2월 집계보다 0,2%p 높은 수치인데 이들은 작년 12월부터 4개월 째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하고 있다. 여기까지는 밝은 소식인데 다음부터가 조금 아쉬운 대목이다. 이들 9개 IB들이 예측한 경제성장률을 국가별로 비교할 경우 한국의 올 해 경제성장률 상승치 3,8%는 아시아 10개국 가운데 밑에서 두 번째 수준이다. 우리 밑에 위치한 나라는 태국(3,2%)뿐이다. 반면, 이 들 주요 IB들은 10개국 중 대만 5,3%(+ 0,6%p조정), 인도 11,3%(+0,2%p), 싱가포르 6,5%(+0,2%p)를 예측했다. 인도네시아는 4,5% (-0,1%p), 필리핀 7,1% (- 0,2%p), 베트남 7,1% (-0,8%p)의 전망치를 냈다. 이들국가는 한때 아시아의 '4마리 용'으로 불리웠던 신흘공업국 들이었고 지금은 한국을 맹 추격하고 있는 국가들이기도 하다. 잠시 잠깐 방심하는 사이 우리를 얼마든지 추월 할 지근 거리에 있는 경쟁국가들인 만큼 신경이 쓰여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