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
  • 구름조금강릉 6.6℃
  • 맑음서울 4.3℃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6.4℃
  • 맑음울산 5.6℃
  • 구름많음광주 6.7℃
  • 맑음부산 8.5℃
  • 구름많음고창 4.9℃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5.3℃
  • 구름많음강진군 7.7℃
  • 맑음경주시 5.6℃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의학/제약

김천기 교수, ‘병원 발전기금’으로 5천만원 기부

아시아통신 박대홍 기자 

 

왼쪽부터 이형중 의무부총장, 김천기 교수.JPG



 

한양대학교의료원(의료원장 이형중)은 김천기 교수(한양대학교병원 핵의학과)로부터 병원 발전과 후학 양성을 위해 써달라며 ‘한양대학교병원발전기금’으로 5천만원을 기부받았다.

 

이에 따라 한양대학교의료원은 지난 5월 20일 동관 8층 제1회의실에서 김천기 교수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발전기금 전달식을 진행했다.

 

이날 전달식에서 김 교수는 “외국생활을 마치고 모교에서 다시 후학 교육을 시작하면서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젊은 의학자들에게 돌려주고 싶었다”면서 “이와 함께, 이번 기부는 모교병원이 좀더 나은 진료 및 연구환경이 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기부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형중 한양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직무대행은 “모교 병원의 발전을 위해 발전기금을 기부해 주신 김천기 교수님에게 깊이 감사드린다”며 “교수님의 소중한 뜻을 이어받아 진료와 연구, 교육역량을 갖춘   최첨단 대학병원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미국 하버드 의대를 비롯한 유명 의과대학들에서 37년간 교수 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김천기 교수는 지난 2018년부터 한양대학교병원에서 의학연구와 논문 지도 등 후학들의 연구역량 향상을 위해 힘써왔다

배너
배너

의정부도시교육재단, 청년 경계선지능인 자립성장 평생교육 성과공유회 성료
[아시아통신] 의정부도시교육재단은 지난 11월 14일 윤슬홀에서 ‘청년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자립성장 평생교육 성과공유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공유회는 경기도와 의정부시가 주최하고 의정부도시교육재단이 주관하여 1년간의 교육성과를 공유하고 내년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행사에는 학습자와 강사진 등 약 20명이 참석해 스피치, AI 크리에이터, 직무·진로 과정의 성과를 직접 발표했다. ▲스피치 과정에서는 시낭송을 통해 발표력과 표현력 향상을 ▲AI 크리에이터 과정에서는 AI 기반 창작 작품을 소개하며 디지털 활용 역량의 성장을 ▲직무·진로 과정에서는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과 미래 계획을 공유하며 청년들의 변화된 인식과 높아진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이어 진행된 간담회에서는 실제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시간 조정, 봉사활동 공동체 운영, 수료 후 지속 참여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으며, 재단은 내년도 운영계획에 이를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의정부도시교육재단 이성 대표는 “학습자들이 1년간 쌓아온 성장 결과를 스스로 발표하는 모습을 보며, 올해 사업

수원특례시의회, 신청사 개청식 개최 73년 만의 독립 청사 마련,
[아시아통신] 수원특례시의회(의장 이재식)는 17일(월) 인계동 신청사에서 개청식을 열고 독립청사 시대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렸다. 1952년 개원 이후 73년간 수원시청 청사를 함께 사용해 온 의회가 단독 의회 청사를 마련하게 된 이번 개청식은, 시민과 함께 새로운 의정의 장을 여는 상징적인 행사로 진행됐다. 이날 개청식에는 김용서 제6대 의장 등 역대 의장단,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김승원 국회의원, 박용진 경기도 협치수석, 한원찬 도의원, 김운남 대한민국특례시의회의장협의회장, 경기도시군의회의장협의회, 관내 유관기관 및 단체장, 시민 등 약 500여 명이 참석해 새 청사의 출발을 함께 축하했다. 행사는 ▲기념식수 ▲개청 기념식 ▲현판 제막식 및 테이프 커팅식, 청사 시찰 등으로 진행됐다. 이번에 문을 연 신청사는 지하 3층~지상 9층, 연면적 12,690.16㎡ 규모로 조성됐으며, 효율적인 의정 지원과 시민 참여 확대라는 목표 아래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IoT 기반 조명·냉난방·공조 자동제어 시스템과 스마트 회의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구현했다. 또한 태양광 설비와 고단열 외피 등을 적용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스마트·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