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최근 발표한 '반도체* 배터리공급망 강화 전략'이 국내기업의 글로벌시장 확대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기화가 될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18일, '미국의 공급망 강화 전략내용 및 전망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앞서 미국백악관은 지난 8일, 반도체*배터리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내 생산역량 확충, 연구개 발(R&D)투자확대, 파트너 국가와의 공조등을 골자로한 공급망 안정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김양팽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국의 세계반도체 시장 점유 율은 55%이지만 반도체 제조업의 시장 점유율은 12%에 불과하다"며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와 함께 동맹국과의 기술협력을 통한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 망 구축이 목표"라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반도체 제조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갖춘 한국과의 협력이 확대되고 이 과정에서 우리기업의 경쟁력도 함께 높아질 수 있 는 만큼, 양국이 '윈윈'할 수있는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은 "미국이 배터리공급망 중ㅇ에서 ㅁㅣ드스트림(원자재 가공 및 셀 생산)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일부 광물의 경우 미국의 가공*정제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하면서 "미국은 이 문제해결을 위한 투자의 외교적 노력 을 강화할 것"으로 진단했다. 이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원자재조달 리스크가 해소될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우리기업들에게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