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산업생산이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최근 반도체 호조 등의 기저효과로 제조업 전반의 생산이 조정을 받고 있는 영향이다. 다만,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세를 이어 갔다. 소비도 증가해 지수가 작성된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全산업생산(계절조정* 농림어업제외)지수는 111,4(2015=100)으로 전 달보다 1,1%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5월의 -1,5%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전 산업생산은 2월 2,0%, 3월 0,9%로 두달 연속 증가하다가 4월 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고무, 플라스틱이 -0,4% 줄었다. 전 산업생산감소는 광공업 생산의 -1,6%가 큰 영향을 줬다. 특히 공공업생산 중 반도체가 -10,9%로 떨어지며 광공업 제조업 생산지수를 1,7%나 끌어 내렸다. 전자기기용 플라스틱 케이스 생산이 줄면서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0,4% 증가해 2월 1,1%, 3월 1,3%네 이어 석달째 증가했다. 옷, 화장품,음식료품 소비가 급증한 덕에 도매업은 0,8% 생산이 늘었고, 집합금지 조치 완화등으로 숙박*음식점(3,1%)도 크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