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세계에서 수소차가 가장 많이 달리고 있는 나라이다. 미국과 중국 조차 우리 발 아래 있다. 여기까지는 매우 유쾌한 이야기이다. 어께를 으쓱거려도 무방하다. 그런데 충전여건으로 보면 끝에서 두 번째이다. 미국이 말째고, 한국이 바로 그 한단계 위이다. 좋은 말로 '말째'이지 시셋말로 하면 '꼴찌' 혹은 '꼴등'이라는 뜻이다. 참으로 이상스런 현상이다. 1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세계 수소차 보급댓수는 총 3만 7,400대이다. 이 중 한국은 33,3%인 1만 2,439대로 세계 1위이다. 우리 뒤를 1만 68대인 미국이 , 3위로는 7,227대의 중국이 우리를 뒤 따라오고 있다. 일본은 5,185대, 독일은 738대로 우리와는 격차가 하늘과 땅만큼 난다. 하지만 수소차에 전기를 공급해주는 충전소 환경 여건은 이와는 180도 확 다르다.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국내 수소충전소는 몽땅해야 69기이다. 충전기1기(基)로 무려 180대가 사용해야만 한다. 시간도 많이 잡아 먹을 뿐더러 찾기도 만만치 않다. 반면 보급 꼴찌인 독일은 1기당 수소차 9대가 충전할 정도로 여유롭다. 일본은 1기 당 38대, 중국도 56대로 양호한 편이다. 미국은 1기당 224대를 담당해야만 한다. 말째이다. 추축컨데 미국은 산유국이기 때문에 겉으로는 친환경을 내세우면서도 자국산 원유 소비가 걱정되는 모양일 수도 있다. 한국은 기름 한방울 않나는 나라이다 그럼에도 왜 수소 충전소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부진한 것일까? 이유는 '수소'에 불안 함, 공포감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폭발하면 대혈 사고가 난다는 관념상의 문제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휘발유나 경유 등에 비해 수소의 폭발 위험도가 훨씬 낮다고 분석한다. 예컨데 수소의 자연발화 온도는 575도인데 비해 휘발유는 500도, 경유는 345도라는 것이다. 어떻든 보급댓수가 세계 1위인 만큼 충전 인프라도 그에 버금가야 정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