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IT과학

中탐사선 첫 화성 착륙 성공...'우주굴기'가속

중국 탐사선이 화성 착륙에 성공을 거뒀다. 이로서 미국과 구 소련이 패권을 다퉈온 '우주 개발전'에 중국이 본격적으로 가세함에 따라 치열한 경쟁이 예고됐다. 중국은 첫 화성 무인탐사선 '텬원(天問) 1호'가 10개월 간의 비행 끝에 화성에 착륙시키며 우주 강국의 꿈을 이뤄냈다. 중국중앙 TV와 중국국가 항천국(CNASA)은 텬원1호 가 15일 오전 7시 18분(현지시간) 화성유토피아 평원 남부의 착륙 예상지점에 성공적으로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화성 탐사 로버의 원격측정신호가 확인됐다"며 "중국 첫 화성 탐사선의 화성 착륙이 원만한 성공을 거뒀다"고 밝혔다. 유토피아 평원은 1976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바이킹 2호가 착륙햇던 지점이다. 당시 바이킹 2호는 유토피아 평원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했었다. 지난해 7월 23일 발사된 텬원 1호는 약 7개월간의 여행 끝에 지난 2월 화성 궤도에 진입, 각종 자료를 수집해 왔다. 앞서, 미국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는 지난 2월 화성에 착륙해 생명체 흔적을 찾는 입무에 착수했다. 구 소련이 세계 최초로 화성탐사선을 보낸 1960년 10월부터 이번 텬원1호 발사 전까지 세계적으로 45차례의 화성 탐사 시도가 있었지만 성공한 것은 17번이다. 지금까지 화성 착륙에 성공한 나라는 미국과 구 소련 두 나라 뿐이었다.
배너
배너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양주시의회,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아시아통신] 남양주시의회는 9일 남양주시의회 소회의실에서 의원 연구단체인‘남양주시 청소년 정책 연구모임’의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남양주시 청소년을 둘러싼 정책환경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남양주시 청소년 정책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 제시와 새로운 정책 사업 발굴을 통한 실효성 있는 청소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대표의원인 전혜연 의원을 비롯한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용역 수행사 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남양주시 청소년정책 일반현황 검토 △유사사례 조사 및 관계법령 검토 △청소년 및 학부모 수요정책 조사 △청소년 정책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등 앞으로의 연구 내용과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청소년의 기준이나 범위가 개별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나이대별 경계도 감안하여 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며, “타시군이나 집행부에서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용역과는 달리 기존 틀을 벗어난 접근을 해야 효과적인 정책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