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유가 상승이 물가상승률 최대 0.8%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예상이 나왔다. 최근 국제 유가가 당초 예상을 넘어 급등하면서 기존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다만 유가 상승이 추세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개발 연구원(KDI)은 6일 발표한 '최근 유가 상승의 국내 경제 파급효과'자료에서 "2021년 유가 상승은 물가 상승률이 0.5~0.8% 포인트 정도 상승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 경제성장률도 유가 상승폭에 따라 0.4~0.7%포인트 가량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KDI가 올해 유가변동을 기준시나리오와 고유가.저유가 시나리오로 각각 나누어 전망한 결과이다. 앞서 KDI는 지난해 하반기에 올해 경제 전망을 예측하면서 국제유가(두비이유기준)가 베럴당 40달러일 때를 가정하고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제시했는데 최근 유가가 급등하면서 시나리오에 변화가 생겼다. 지난해 국제유가는 베럴당 연평균 42.25달러 였으나 최근 통계인 4월 넷째주 기준 평균가격은 베럴당 63.6달러로 50% 가까이 뛰어올랐다. KDI는 국제유가가 여기서 추가로 상승해 베럴당 70달러까지 올라가는 경우를 고유가 시나리오로 제시했다. 이는 원유 슈요 충격이 이어지는 가운데 장내 수급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적 수요 및 투기 수요가 가세하면서 유가가 폭등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이 경우 물가 상승률이 0.8%포인트, 경제성장률은 0.7%포인트로 각각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