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속초11.4℃
  • 맑음11.5℃
  • 맑음철원11.2℃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3.0℃
  • 맑음대관령5.1℃
  • 맑음춘천12.2℃
  • 맑음백령도16.0℃
  • 맑음북강릉11.9℃
  • 맑음강릉12.4℃
  • 맑음동해11.8℃
  • 맑음서울15.9℃
  • 맑음인천16.3℃
  • 맑음원주14.4℃
  • 구름많음울릉도14.4℃
  • 맑음수원13.1℃
  • 맑음영월12.0℃
  • 구름조금충주13.6℃
  • 맑음서산13.5℃
  • 맑음울진12.2℃
  • 맑음청주16.0℃
  • 맑음대전13.7℃
  • 맑음추풍령11.4℃
  • 구름많음안동14.0℃
  • 맑음상주12.8℃
  • 흐림포항16.2℃
  • 맑음군산13.9℃
  • 구름조금대구16.3℃
  • 맑음전주14.2℃
  • 흐림울산15.5℃
  • 구름조금창원15.4℃
  • 맑음광주15.3℃
  • 구름조금부산16.3℃
  • 구름조금통영15.8℃
  • 박무목포16.2℃
  • 구름조금여수17.1℃
  • 구름많음흑산도16.5℃
  • 구름조금완도15.1℃
  • 맑음고창12.9℃
  • 맑음순천8.9℃
  • 맑음홍성(예)13.9℃
  • 맑음12.1℃
  • 구름많음제주18.2℃
  • 맑음고산17.4℃
  • 구름많음성산18.5℃
  • 구름조금서귀포19.5℃
  • 맑음진주13.1℃
  • 맑음강화13.4℃
  • 맑음양평13.6℃
  • 맑음이천13.1℃
  • 맑음인제11.2℃
  • 맑음홍천11.9℃
  • 맑음태백8.8℃
  • 구름많음정선군10.3℃
  • 맑음제천12.6℃
  • 맑음보은11.5℃
  • 맑음천안11.4℃
  • 맑음보령12.7℃
  • 맑음부여11.3℃
  • 맑음금산10.9℃
  • 맑음12.4℃
  • 맑음부안13.6℃
  • 맑음임실10.0℃
  • 맑음정읍11.9℃
  • 맑음남원12.0℃
  • 맑음장수9.1℃
  • 맑음고창군12.0℃
  • 맑음영광군13.1℃
  • 맑음김해시15.0℃
  • 맑음순창군11.2℃
  • 맑음북창원15.9℃
  • 구름많음양산시16.9℃
  • 맑음보성군14.0℃
  • 구름조금강진군12.9℃
  • 맑음장흥12.7℃
  • 구름조금해남13.3℃
  • 맑음고흥12.7℃
  • 맑음의령군13.9℃
  • 맑음함양군10.9℃
  • 맑음광양시15.1℃
  • 구름조금진도군12.4℃
  • 흐림봉화14.0℃
  • 구름조금영주14.1℃
  • 맑음문경11.8℃
  • 구름많음청송군13.3℃
  • 맑음영덕12.9℃
  • 구름많음의성14.0℃
  • 구름조금구미15.7℃
  • 구름조금영천15.0℃
  • 구름많음경주시15.7℃
  • 맑음거창11.0℃
  • 맑음합천13.7℃
  • 구름조금밀양15.6℃
  • 맑음산청12.5℃
  • 맑음거제14.8℃
  • 구름조금남해15.6℃
  • 구름조금15.0℃
기상청 제공
아시아통신 로고
中 나시족향, 100년 와인 양조 역사에 관광 더해 활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中 나시족향, 100년 와인 양조 역사에 관광 더해 활기

 

신화통신에 따르면 100년 이상의 와인 양조 역사를 자랑하는 시짱(西藏)자치구 창두(昌都)시 망캉(芒康)현 나시족(納西族)향. 나시족향 고원에서 생산된 와인이 이 지역 '간판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어 눈길을 끈다.

 

나시족향 마을 사람 대부분은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주조한다. 

 

"이곳에서 나는 메이구이미(玫瑰蜜·장미꿀) 포도는 검붉은 색을 띠며 씨알이 크고 달다. 

 

포도알 선별과 세척, 자연발효 등 공정을 거치게 되면 맛 좋은 와인이 만들어진다.

 

" 마을 주민 궈라줘마(果拉卓瑪)의 말이다. 

 

그에 따르면 와인은 이미 이곳의 특산품이 됐으며 특히 전국 각지에서 온 손님들에게 판매할 와인을 만드는 것이 가계 소득 증대의 새로운 방안으로 자리잡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6일 드론으로 바라본 중국 시짱자치구 창두시 망캉현 나시족향. (사진/신화통신)

 

이곳의 와인산업이 '간판 산업'으로 자리잡는 데에는 마을 주민들이 만든 수제 와인뿐만 아니라 굴지 기업의 리더십도 빛을 발했다.

 

짙푸른 협곡 사이에 위치한 창두시 망캉현 소재 짱둥전바오(藏東珍寶) 주류회사가 대표적인 예다. 

 

이 회사는 현재 현대식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다. 

 

회장 뤄쑹츠런(洛松次仁)은 "수정(水晶) 오렌지와인과 드라이 레드와인, 드라이 화이트와인 등 10종을 출시했다"며 "연간 와인 생산량이 200t이 넘고 그 가치는 3천여만 위안(약 58억원)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지난달 26일 중국 시짱자치구 창두시 망캉현 나시족향에서 촬영한 포도밭. (사진/신화통신)

 

와인 사업을 하게 된 계기에 대해 그는 천혜의 자연조건과 색다른 분위기를 꼽았다. 

 

그는 "위치가 건조하고 더운 하곡(河谷)에 있어 포도가 자라기에 적합하다"며 "포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페놀 등 물질과 가용성 고형물이 풍부하다"고 말했다. 

 

이어 "해발이 높은 고원에서 생산됐다는 점도 이곳 와인이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은 중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자사의 와인을 더 많은 사람에게 선보이기 위해 뤄쑹츠런은 대학에서 와인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고 수중에 있던 전 재산과 대출 90만 위안(2억원)을 투입해 창업했다. 

 

현지 와인을 타지로 판매하기 위해선 반드시 현대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망캉현 나시족향 주민들이 포도밭에서 포도를 수확하고 있다. (취재원 제공)

 

기업이 발전하자 지역주민의 소득도 점차 오르고 있다. 

 

그중 망캉현 내 여러 와인 회사는 '기업+협회+농장+농가'형 모델을 통해 인근 마을 주민의 포도 재배업 종사를 독려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망캉현 포도 재배 규모는 이미 6.7㎢ 이상 달하며 농가 소득은 평균 8천여 위안(154만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망캉현은 와인 산업을 중점 특색 산업으로 지정, 대대적인 지원 사격에 나섰다. 

 

이를 통해 현재 와인 기업 6곳을 육성했고 '망캉 포도'는 하나의 국가농산물 인증마크가 됐다.

 

뤄쑹츠런은 "관광산업과 결합한다면 망캉의 와인문화 개발도 승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어 "향후 와이너리를 만들고 와인 저장고 및 전시장을 확장해 관광객을 유치할 것이며 온·오프라인 체험을 통해 관광객과 소비자들이 남다른 고원 와인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