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 배달전문음식점들의 매출은 전반적으로 큰 타격없이 11%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외식업 중앙회를 비롯한 16개 협회와 단체등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 인적자원 개발위원회(ISC)는 '2020년 음식서비스분야 산업인력 현황'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자료는 코로나 2차 유행기인 지난 해 8월 17~ 31일까지 한식일식*중식* 서양식* 치킨전문점*유사음식점(피자, 햄버거 판매점) 등 6개 업종 300개 업체를 대면 조사해 분석한 결과이다. 자료에 따르면, 이들 조사 업체들의 지난해업체당 월평균 매출은 2,736만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6,5% 줄었다. 코로나 19 때문이다. 이 중 배달을 전혀 하지 않는 외식업첻즐의 매출은 월 평균 2,616만원으로 31,2% 감소했다. 감소폭으로 치자면 전체 평균 감소폭의 두 배이상 줄어 심각했다. 또, 매출 기준으로 배달 비중이 1~49%인 외식업체는 월 평균 매출이 2,303만원으로 17,9% 줄었다. 반면, 배달만 하는 전문 배달음식점들은 월 평균 매출이 1,864만원으로 11,0% 증가했다. 배달비중이 90~99%인 외식업체는 5,0% 증가했고, 배달 비중이 50~89%인 외식업체의 매출은 2,8% 늘었다. 업종별로는 방문 식사 비중이 높은 일식 업종의 타격이 가장 심했다. 일식 업종의 월 평균 매출은 1,764만원으로 29,5% 줄어 6개 업종 중 감소폭이 가장 심했다. 다음은 한식 20,0%, 치킨전문점 19,3%, 서양식 17,0%, 중식 12,9%, 유사음식점 7,2% 감소 순이었다.
박철희 기자
ipark324@naver.com
Copyright @아시아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