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의 와중에 작년 와인(포도주) 수입이 역대 최다 수입을 기록했다. 이유는 '홈술' '홈 파티'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는 곳이다. 옛날 어른들은 속상한 일이나 걱정스런 일이 있을때 막소주나 막걸리를 마셨던 기억이 나는데 요즘 사람들은 와인들을 마시나?. 원래 와인은 즐거운 때, 고풍스런 파티 때난 등장하는 술이 아닌가? 코로나19로 온 국민이 시름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 와인 수입이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는 소식은 결코 상황에 걸맞지 않는 이야기 같은 느낌이다. 4일, 관세청 통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 와인(2 L이하 용기에 담은 와인 기준) 수입물량은 3만 8969톤, 금액으로는 2억 3927만 달러(한화 2599억원)를 각각 기록했다. 이는 아직 통계로 잡히지 않은 12월 분을 제하고도 이미 이전 사상 최고치였던 2019년의 수입량 3만 3797톤,수입액 2억 386만달러 (2,214억원)을 뛰어 넘는 숫치이다. 보나마나 연말연시라고 12월 분 와인 수입물량이 훨씬 더 늘었을 터이니 그 물랼이나 금액은 상당하리라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와인 수입액은 2011년 1억 1280만달러(1,225억원)와 비교하면 10년 새 2배나 급증했다. 이중 지난해 국내에 많이 수입된 와인을 산지 국가별로 보면, 레드와인은 칠레,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순이다. 화이트 와인은 프랑스, 이탈리아, 칠레, 미국, 뉴질랜드 순이다.
박철희 기자
ipark324@naver.com
Copyright @아시아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