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도시. 지역 혁신 산업 '박람회 참가'......고창군 !

  • 등록 2025.09.26 19:31:09
크게보기

-도시재생 서오가 "홍보 부스 운영"-

[아시아통신] 

<고창군 도시재생 홍보 지원센타 위원들>

 

고창군이 “대한민국 도시·지역 혁신 산업박람회”에 참가하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 박람회 개요 및 최근 동향

고창군이 어떻게 참가하면 좋을지 여러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 혁신 산업박람회”는 강원도 삼척시 정라지구 일원에서 9월 24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됩니다. 

  • 이 박람회는 국토교통부, 주최 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함께 참여하며, 도시재생·지역혁신 사업 사례 공유, 기술 전시, 컨퍼런스·세미나, 경진대회 등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됩니다. 

  • 2024년 대구 개최 사례를 보면, 전국의 지자체와 기업 약 170여 개 기관이 참가했고 약 200개 부스가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도시혁신 정책과 기술, 프로젝트 사례가 전시 및 홍보되는 장이었습니다. 

  • 또한, 박람회에서는 “도시·지역혁신대상” 등 상도 수여되고,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 2025년 행사에는 전국 123개 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며, 방문객도 약 3만 명이 예상됩니다. 

이런 특성들을 고려하면, 고창군이 단순 홍보 참여뿐 아니라 사례 발표 또는 수상 도전까지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고창군 참가 가능성 타진 및 유리 요인

고창군이 이 박람회에 참가할 때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부분들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강점 요소 (고창군에게 유리한 부분)

  • 지역 특색과 자원 활용 사례
    고창은 농업, 생태, 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한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역 자원을 도시재생 또는 지역혁신 사업 모델로 연결해 전시하면 경쟁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속 가능한 지역 개발 사례
    만약 고창군 내에서 도시재생, 노후 마을 정비, 농촌 활성화, 관광 인프라 개선, 주거 환경 개선 등의 사업이 이미 추진 중이라면 이러한 사례를 중심으로 전시할 수 있습니다.

  • 지역 농업과 연계한 도시-농촌 융합 혁신
    농업, 농촌과 연계된 스마트 기술, 친환경 기술, 유휴 공간 활용 등 혁신 사례를 전면에 내세우면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협업 기반 프로젝트
    대학, 연구기관, 기업, 주민과의 공동 프로젝트나 파일럿 사업이 있다면 “협업을 통해 지역 혁신을 이룬 사례”로 강조하면 좋습니다.

위험 요인 및 대비 과제

  • 박람회 참가 비용 (부스 설치, 홍보물 제작, 운영 인원 배치 등)이 적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예산 확보가 중요합니다.

  • 다른 지자체와 유사한 사례 경쟁이 있을 것이므로, 차별성 있는 콘텐츠가 필요합니다.

  • 행사장 이동 거리, 운송, 장비 설치, 물류 등이 지방 지자체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사전 로지스틱 계획이 중요합니다.


3. 참가 전략 및 제안 구성

고창군이 성공적으로 참가하기 위한 전략과 제안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적 방향 설정

  1. 주제 선정 및 메시지 정교화

    • 고창군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예: “생태와 농업의 혁신 융합”, “초고령 농촌 마을 활성화”, “지속 가능한 관광 기반 조성” 등).

    • 박람회 주제 (예: “지역에 삶을, 도시에 숨을”) 등과 연계되는 방향으로 메시지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2. 전시 콘텐츠 구성

    • 사례 전시 부스: 고창군의 도시·농촌 혁신 사업, 마을 재생 사례, 주민 참여 프로젝트 등을 영상, 패널, 모형, VR 등을 통해 다양하게 보여주기

    • 프로젝트 발표 / 경진 참여: 박람회에서 제공하는 경진대회나 혁신대상 응모 기회를 활용

    • 체험 프로그램: 방문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 요소 (농업 체험, 생태 체험, 지역 먹거리, VR 체험 등)를 부스 내외에서 운영

    • 홍보물 및 디지털 콘텐츠: 브로셔, 리플릿, 카드뉴스, 영상, 웹 기반 콘텐츠 QR 코드 배치 등

  3. 협업 및 파트너십 구성

    • 지역 대학, 연구기관, 스타트업, 기업, 마을공동체, 농업 단체 등과 협업하여 공동 전시 또는 공동 프로젝트를 구성

    • 전국 다른 지자체나 기관과 비교되는 공동 콘텐츠를 만들어 상호 홍보 효과를 낼 수 있는 구도 고려

  4. 홍보 및 후속 연계 계획

    • 박람회 전후 SNS, 언론, 지역 매체 등을 통한 홍보 계획

    • 박람회 당시 방문자 데이터 확보 (명함, QR 코드 스캔, 설문 등)

    • 행사 이후 연계 방문, 사업 확대 가능성 있는 기관 대상 네트워킹

구체 실행 제안 (예시 아이디어)

  • “고창 생태·농업 융합 혁신관” 부스 운영
    고창의 농업, 생태 자원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 자원 재순환, 마을 활성화 사례 등을 전시

  • VR 또는 AR을 통한 지역 투어 체험
    고창의 대표 마을, 갯벌, 전통마을 등을 가상 체험 공간에 구현해서 방문객이 체험

  • “지역민 참여형 프로젝트” 발표 세션
    주민 참여 기반의 마을 정비 사례나 지역 공동체 회복 사례를 현지 주민 또는 담당자 발표

  • 우수 사례 공모 응모
    도시지역혁신대상 등 박람회 내 상 부문에 고창군 사례를 응모하여 수상 기회를 노림

  • 자매도시 혹은 다른 지자체와 협업 부스 구성
    인접 시군 혹은 유사 조건의 지자체와 협업하여 “광역권 혁신 네트워크” 부스를 운영


4. 추진 일정 및 준비 체크리스트

아래는 대략적인 추진 일정 및 준비 항목 체크리스트 예시입니다. (실제 박람회 일정 및 공모 마감일에 따라 조정 필요)

단계 기간 주요 활동
기획 및 내부 의사결정 박람회 개최 6~8개월 전 참여 의사 확정, 예산 확보, 조직 팀 구성, 주제 및 슬로건 정하기
콘텐츠 설계 및 사업 선정 5~6개월 전 어떤 사업을 전시할지 선정, 협업 기관 확정, 전시 컨셉 구체화
신청 및 부스 배정 4~5개월 전 박람회 주최 측 참가 신청, 부스 배정, 기본 설계 요청
전시물 제작 및 준비 3~4개월 전 패널, 모형, 영상, VR, 디지털 콘텐츠, 홍보물 제작
설치 및 리허설 행사 직전 1~2주 부스 설치, 장비 테스트, 리허설, 인원 교육
현장 운영 행사 기간 전시 운영, 주민 및 방문객 응대, 현장 콘텐츠 진행, 네트워킹
사후 정리 및 연계 행사 후 1~2개월 성과 분석, 홍보 확대, 후속 사업 연결, 피드백 반영

체크리스트 항목 예시:

  • 참가 신청 및 계약 서류 점검

  • 부스 공간 배치도 확보

  • 전시 장비 목록 (모니터, 스크린, 조명, 전기, 인터넷 등)

  • 운영 인력 및 역할 분배

  • 홍보물 (전단, 리플릿, 배너, 웹 QR 코드 등)

  • 영상 및 디지털 콘텐츠 준비

  • 체험 요소 운영 계획

  • 방문객 데이터 수집 방안 (명함, 스탬프, QR 코드 등)

  • 보험, 안전, 물류 계획

  • 현장 인력 교육 및 운영 매뉴얼


최용운 기자 choiyu2495@hanmail.net
Copyright @아시아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


아시아통신 (newsasia.kr) | 주소 : (전)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104-20 4층 | 경기도 남양주시 청학로 124 | newsasia@naver.com | FAX : 0504-009-3816 | 전화 : 02)953-3816 발행일자 : 2007.02.01 | 사업자등록번호 : 132-81-69697 | 등록번호: 문화 나 00034 | 이사 : 윤헌수 ||고문 박철희, 심경섭 경제학과 교수 | © Copyright 2007 NEWSASIA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