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기념관은 국가보훈부 지원으로 <2024 청년 이회영 문화사업>에 참여할 청년예술가 공모를 8월 1일부터 8월 29일(국치일)까지 진행한다.
<청년 이회영 문화사업>은 재능있는 청년 예술가들을 발굴하여 문화예술 활동으로 이회영 선생과 독립운동가를 기리고, 인물과 활동을 예술 작품으로 형상화하여 일상 속에서 독립운동 가치를 재현하고 확산하고자 기획하였다.
2022년을 시작으로 세 번째 맞는 이번 사업은 건축문화사로 봐도 빼어난 미감과 가치를 지니고 있는 ‘이회영기념관’에서 광복을 꿈꾸며 부른 ‘독립운동노래’를 청년 음악인들이 연주하고 부른 장면을 영상으로 제작하여 널리 배포하고자 한다.
'이회영기념관'은 온 집안이 전 재산을 들여 독립운동에 나섰던 우당 이회영과 6형제를 기념하는 공간으로 2021년 서울시에서 조성하여 국가보훈부 현충시설로 지정된 바 있다. 지난 7월부터 남산 예장자락(명동)에서 사직동 묵은집(선교사 주택)으로 이전하여 운영 중이며 오는 9월 11일 특별전과 함께 정식 재개관 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에는 39세 이하 청년 예술가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공모 주제는 ‘독립운동노래’이다. 교과서에 실리거나 조금 널리 부른 노래보다 숨어 있는 독립운동노래를 다시 불러보자는 뜻으로 이회영기념관이 전문가 자문을 받아 선정한 항일음악 5곡 ‘안사람 의병가’, ‘조선의용군 추도가’, ‘격검가’, ‘흘러가는 저 구름’, ‘대한이 살았다’ 가운데 한 곡, 또는 여러 곡을 편·작곡하여 연주하고 노래하면 된다. 자세한 공모요강은 이회영기념관 누리집(소식-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회영기념관은 9월 초까지 별도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팀에게 작품 규모에 따라 100~300만원을 차등 지급하고, 영상 제작에 필요한 음원 녹음·믹싱, 영상 촬영·편집을 지원한다. 최종 선정팀의 작품은 11월 17일 '이회영 선생 순국 92주기' 공연 등에 참여한다.
이 사업을 기획한 서해성 감독은 “독립운동시기는 역사의 청년시기라고 할 수 있다. 광복을 꿈꾸며 부른 항일음악은 기록된 노래만 해도 350곡이 넘는다. 이 노래들을 지금의 청년들이 부르고 연주하는 일은 독립운동가의 활동과 열정을 현재로 불러오는 일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