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의 정체는 무엇인가?

  • 등록 2021.01.26 09:51:24
크게보기

천기(天氣)와 지기(地氣)

기(氣)의 정체는 무엇인가? 기(氣)란 무엇인가? 기(氣)란 무엇일까? 기(氣)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기(氣)가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주장하는 것이다. 기(氣)는 유형의 기(氣)와 무형의 기(氣)가 있다. 기(氣)는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지금은 몇 가지 기만 살펴보자. 어떤 기(氣) 중에는 너무나 작아서 마치 없는 것처럼 보이는, 무형(無形)의 기(氣)가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공기(空氣)다. 공기 중에는 질소 78%, 산소 21%, 아르곤 0.93%, 그리고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이 있다. 공기(空氣)는 빌 공(空)자에 기운 기(氣)를 쓴다. 공(空)은 비어있다는 뜻이다.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 마치 텅 비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손에 잡히지도 보이지도 않는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사람의 몸에서는 이 보이지 않는 공기 중에 있는 산소를 취하여만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물고기가 물을 떠나선 살 수 없다. 어항 속의 물고기가 살려면 자신을 살아있게 할 생기(生氣)의 근본인 산소를 물속에서 계속 얻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항에 사는 물고기가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산소발생기를 넣어 주어야 한다. 산소발생기가 없어 산소를 계속 발생시켜 주지 않으면 물고기는 곧 죽게 된다. 물고기만 그럴까? 인간(人間)도 어항(魚缸) 같은 공간(空間) 안에서 살고 있다. 인간은 더 넓은 어항 같은 대기권(大氣圈) 안에서 산다. 이 대기권도 산소발생기가 필요하다. 사람이 숨 쉬고 살아야 할 산소발생기가 있는데 이것이 곧 나무나 식물이다. 이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 곧 ‘프리스틀리’의 실험이다. 1772년 영국의 화학자이자 성직자인 ‘프리스틀리(Joseph Priestley, 1733~1804)’가 특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프리스틀리가 동물과 식물, 공기의 연관 관계를 연구하는 중에, 빛이 식물의 생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식물이 산소를 발생시킨다는 것도 알아낸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그것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여도 그것을 입증한 실험은 현대과학의 발전에 대단히 중요한 ‘기초 돌’을 놓은 사건이었다. 프리스틀리는 유리로 된 종속에서 양초를 태우는 실험으로 ‘나쁜 공기’, 곧 ‘해로운 공기’를 발견하였다. 이 공기가 들어 있는 곳에, 쥐를 넣었더니 쥐가 질식하였다. 그러나 식물을 넣어 주었을 때, 쥐가 다시 깨어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유리종 안에 식물만 넣거나 쥐만 넣으면 쥐와 식물이 모두 죽지만 둘을 함께 넣으면 둘 다 죽지 않는 것을 보았다. 나무나 식물은 사람이 살아갈 수 있도록 신이 만든 산소발생기다.
조춘호 기자 jchjy555@naver.com
Copyright @아시아통신 Corp. All rights reserved.


아시아통신 (newsasia.kr) | 주소 : (전)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104-20 4층 | 경기도 남양주시 청학로 124 | newsasia@naver.com | FAX : 0504-009-3816 | 전화 : 02)953-3816 발행일자 : 2007.02.01 | 사업자등록번호 : 132-81-69697 | 등록번호: 문화 나 00034 | 이사 : 윤헌수 | 고문: 박철희 | 심경섭 경제학과 교수| © Copyright 2007 NEWSASIA All Right Reserved.